포산(包山) 김태형의 예술 세계는, 한때 산천을 호령하던 한국호랑이의 

기억에서 시작됩니다. 


그는 호랑이를 단순한 동물로 그리지 않습니다. 

그것은 곧 역사와 정신, 문화와 인간, 자연과 무의식의 상징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전통 문화 속에서 호랑이는 수호와 신성함의 존재였습니다. 

김태형 작가의 붓끝에서 부활한 호랑이는 민족의 깊은 무의식과 맞닿으며, 

사라진 존재들의 숨결을 온몸에 품은 채 숭고하게 화폭 위에 서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전통의 상징성과 현대적 감성을 절묘하게 엮어내며 

민족성과 보편적 인간성을 동시에 아우릅니다. 과거와 현재, 기억과 현실을 잇는 

다리처럼, 그의 예술은 조용하지만 깊은 사유의 길로 우리를 이끕니다. 


그가 그린 호랑이는 우리 안에 잠든 기억을 깨우고, 

잊혀진 정신의 실루엣을 다시금 선명하게 드러냅니다. 

그것은 단순한 그림이 아닌, 존재의 응답입니다. 




Posan (包山) Kim Taehyung 



The artistic world of Posan (包山) Kim Taehyung begins with the memory of the Korean tiger,

once a sovereign presence roaming the mountains and rivers of the Korean Peninsula. 


He does not portray the tiger merely as an animal.

In his work, it is reborn as a profound symbol—of history and spirit, culture and humanity, nature 

and the unconscious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e tiger was revered as a guardian and a sacred being.


Revived through Kim’s brushstrokes, the tiger stands solemnly on the canvas,


embodying the breath of what has vanished,

and touching the depth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a people.


His paintings weave together traditional symbolism and modern sensibility,

embracing both national identity and universal human nature


Like a bridge between past and present, memory and reality,

his art invites us into a quiet yet profound journey of reflection. 


The tigers he paints awaken long-forgotten memories within us,

bringing into focus the faded silhouettes of a spiritual heritage. 

They are not mere images—but responses to existence itself.